영혼불멸설은 어떻게 기독교의 교리로 자리잡았나
페이지 정보
정리 - 김범태 기자
kbtlove@kuc.or.kr
입력 2019.06.11 06:26
글씨크기
본문
반성서적 헬라철학 ... 제5차 라테란종교회의에서 교황이 교서 반포
(* 플라톤이 어떠한 영향을 받아 영혼불멸 사상을 체계화했는지 알기 위해서는 그리스의 철학 사상을 이해해야 한다. 영혼불멸에 기초하여 윤회사상을 철학적으로 체계화한 사람은 BC 6세기의 철학자 피타고라스였다. 그 후 BC 5세기 소크라테스는 이집트를 방문하며 영혼불멸 사상을 더욱 깊이 확신하게 되었고, 그것을 자신의 신앙으로 만들었다. 그는 죽음을 영혼과 육신의 분리로 보았다. 이에 깊은 영향을 받은 수제자 플라톤은 영혼불멸 사상의 가장 열렬한 주창자가 되었으며, 그의 논집인 <페에돈>은 영혼불멸 사상의 교과서로 확고부동하게 자리 잡았다. - 편집자 주)
▪ 필론(BC 20~AD 47) - 알렉산드리아 출신의 유대인 철학자로서, 몸과 영혼을 분리시킨 플라톤의 헬라 사상을 신플라톤주의 형태로 유대교에 끌어들이는데 앞장섰다.
▪ 오리게네스(약 185~254) - 알렉산드리아신학교에서 교장을 지낸 3세기 초의 천재적인 교사. 하나님이 영원하고 불멸인 것처럼 인간의 영혼도 불멸이라고 주장했으며, 자신은 영혼불멸을 믿는 진정한 신플라톤주의자라고 자처했다. 이러한 주장은 디모데전서 6장16절에 하나님에 대하여 ‘오직 그에게만 죽지 아니함이 있다’고 한 말씀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것이다.
▪ 테르툴리아누스(약 160~240) - 플라톤과 같은 영혼불멸을 주장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악인의 영혼은 지옥불에서 영원히 탄다고 하는 ‘영원지옥’을 최초로 주장한 장본인이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들을 보면, 악인들은 지옥에서 영원히 불탄다는 이론도 처음부터 성경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서기 2-3세기경에 와서 한 개인이 추측하여 만들어 낸 이론에 불과한 것임을 깨닫게 된다.
▪ 아우구스티누스(354~430) - 북아프리카 히포 출신으로 당대의 최대 신학 교부였다. 그의 가르침은 중세 가톨릭 교리의 기초가 되었다. 그는 플라톤의 영혼불멸 사상과 테르툴리아누스의 영원지옥설을 확증하는 한편, 플라톤의 철학 개념을 빌려 연옥설을 만들어 냈다.
대교황 그레고리는 서기 528년 그것을 교리로 인정했다. 성경에도 없는 연옥 교리가 생겨난 것이다.
▪ 토마스 아퀴나스(1225~1274) -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 확인된 영혼불멸 사상과 영원지옥 그리고 연옥의 신앙은 13세기 스콜라철학자요 신학자인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중세 가톨릭교의 확고한 교리로 집대성되었다. 이러한 사상이 담긴 저서가 바로 그 유명한 <신학대전>이다.
▪ 단테(1265~1321) - <신곡>이라는 작품을 통해 영혼불멸 사상에 입각한 지옥, 연옥, 천국을 민속신앙으로 소개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 영혼불멸 사상이 교리화
-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성경에는 전혀 근거가 없고, 단지 이교의 철학 사상으로 전해지던 영혼불멸 신앙이 그리스도교 안에 깊이 뿌리를 내리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역사와 이론을 배경으로 하여 마침내 교황 레오 10세는 1513년, 제5차 라테란종교회의를 거쳐 다음과 같은 교서를 반포하기에 이르렀다.
“어떤 사람들이 이성적인 영혼의 속성에 관하여 그것이 죽음과 더불어 죽게 된다고 감히 주장하는 것과 달리, 우리는 거룩한 공회의 동의로써, 영혼은 ... 불멸이라고 한 교황 클레멘트 5세(1305~1314)의 종규에 따라, 지성적인 영혼은 죽게 된다고 주장하는 자들을 정죄하고 배척하며, 이와 같은 그릇된 주장에 집착하는 모든 사람을 멀리할 것과 이단으로 징벌하여야 할 것임을 명하는 바이다”
■ 영혼불멸이 개신교 교리로 자리 잡은 경위
- 이렇게 이교적인 영혼불멸 사상이 중세 교회의 공식적인 교리가 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종교개혁이 시작되었다(1517년).
프랑스의 젊은 가톨릭 신자였던 칼뱅이 1532년 개신교 신앙으로 개종하였다. 그가 개종한 지 2년 만인 1534년, 25세의 젊은 나이에 영혼불멸에 반대하여 죽음을 잠과 같은 무의식으로 가르친 재세례파 그리스도인들을 신랄히 비평하고 이단으로 정죄하는 최초의 신학논문인 <혼수론>을 집필했다.
그리고 그 논문이 오늘날 일반 개신교의 영혼불멸 신앙을 정립시키는 결정적인 계기를 만들어 놓았다.
더욱 안타까운 사실은 칼뱅 이전에 먼저 성서에 입각한 종교개혁을 주도했던 영국 옥스퍼드대학의 교수 위클리프, 틴들, 독일의 루터 등이 이미 중세 교회의 영혼불멸설 교리가 이교적인 사상임을 공공연히 지적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이교 사상이 개신교를 지배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 <죽음 이후의 세계 19~22p / 진리횃불선교회 생명나누기 시리즈 6권>
특집
-
인공지능 시대, ‘목회자’는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2024.10.24
-
인공지능 시대, ‘재림성도’는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 2024.10.24
최신뉴스
-
‘선교 120주년’ ... 오늘, 성회의 막이 오른다 2024.11.08
-
삼육대박물관에서 만나는 특별한 전시회 <개척자들> 2024.11.08